노키아 N5800의 기본 폰트 깔끔해서 마음에 들어하고 있었는데, 그래비티를 사용하게 되면서 가끔 일본어 폰트가 깨지는 것이 살짝 신경이 쓰이게 되었습니다. 제 일본어 실력이야 히라가나는 읽을 줄 알고, 가타가나는 반쯤 읽지만 한자는 거의 읽을 수 없는 생초보 수준입니다만, 그래도 늘 관심있는 외국어라 트윗에 정체불명의 네모칸이 뜨면 왠지 슬픈 것이죠.
하지만 저는 v20 커펌 상태(네이버 기네스북 님의 노키아 까페 포스트 참조)이고, 어느 프로그램인지 기억도 못하지만 여튼 폰트라우터를 깔기 싫었던 터라 노키아까페 글 검색에 들어갔습니다. 역시 찾는자에게 복이 있나니. 폰트라우터를 깔지 않고 글씨체 바꾸기(네이버 친개냥(daerix) 님의 노키아 까페 포스트)가 있군요.

내용인 즉슨, 폰트 .ttf 파일을 받아서 노키아의 z:\resource\Fonts에 있는 폰트명과 동일하게-우리나라에서 출시되는 노키아에는 Korea라는 이름이 붙은 폰트가 하나 더 있는데, 한가지의 .ttf 파일을 복사하여 같은 내용의 다른 이름 파일을 두개 만드는 것입니다-해서 E\resource\Fonts에 복사하여 넣는 것입니다.

v20 커펌을 하면 원래 순정에는 보이지 않던 어플들이 나타나는데, 새로 나타난다는 게임은 제가 관심이 별로 없어서 넘어가고 System 아래에 있는 FileBrowser가 마음에 들더군요. 그래서 X-plore나 Y-Browser를 따로 깔지 않았습니다. N5800에는 Phone memory(c:\)와 Memory card (e:\) 말고도 RAM (d:\)과 ROM(z:\)이 더 있습니다.

먼저 제 익뮤의 기본 폰트 이름을 확인하겠습니다. 친개냥님의 글 내용과 같은 기본 폰트의 파일명이네요.

S60ZDIGI.ttf
Series60Korean.ttf

그리고 폰트를 찾아야지요. 한중일영 폰트가 모두있다는 ms폰트입니다. 네이버 시옹마오 님께서 올려주신 자료를 받았습니다. 이 폰트는 MicrosoftYahei-Tahoma.ttf 군요. 용량은 10.7 메가바이트입니다. 이를 복사 해서 기본 폰트와 같은 이름의 파일을 두개 만들어두었습니다.

여기서, FileBrowser에서 E:\resources에 들어가서 디렉토리를 만들려고 하면 보안상의 이유로 안된다고 나옵니다. 익뮤를 USB로 연결해서 [내 컴퓨터]에 뜨는 Nokia N5800에 들어가서도 E:\resources에 접근은 되지만 파일 쓰기가 안됩니다. USB 연결시의 옵션에서 [PC Suite]로 연결을 하는게 가장 안정적이어서 이걸로 쓰고 있었는데, 이런 경우에는 접근성이 좋은 File Explore인 Total Commander의 힘을 빌려야겠습니다. USB 연결 옵션 중 [Mass Storage]를 선택해서 E:\resources의 속성을 확인하니 역시! 읽기 전용으로 되어있네요. 쓰기 가능하게 속성을 바꾸고 E:\resources\Fonts 디렉토리를 만든 후 두개의 .ttf 파일을 복사합니다. 그리고 재부팅을 하면 폰트가 바뀌어있습니다. 일본어 한자도 이쁘게 잘 나오구요. 방금 전까지 쓰던 폰트가 아니라서 살짝 어색함이 있습니다만 이 글씨체 아주 마음에 듭니다.

역시나 [Mass Storage]에 들어갔다 나오면 Message의 기본 연결이 phone memory로 바뀌어 있네요. 이건 아마도 PC와 연결할 때에는 익뮤의 이동식 디스크에서는 원래 사용하던 C:\와 E:\를 사용할 수가 없어서-제 PC에는 C: system, D: data, E: CD-ROM이기 때문입니다.- Message center에서 default 상태의 phone memory를 잡아버리기 때문이 아닐까 생각합니다.



지난 7월 30일 MS Yahei-Tahoma 폰트를 깔고 사용하고 있었는데, 용량이 10M가 넘다보니 조금 무거운 감이 있네요. 글씨 로딩이 조금 느려요. 그리고 내가 잘못 쓰는 글자와 상대방이 약간 철자법에 어긋나는 글을 쓰면 그 글자가 빈칸이 되어버리는 것이 있어서, 폰트를 다시 바꾸었습니다. 오늘 8월 4일 현재 네이버 블루캣(vluecat)님께서 만들어주신 삼성고딕체를 사용 중입니다.
Posted by 향여우고냥
,

네이버 노키아 공식 블로그(http://cafe.naver.com/nokiaa)에 올려져있는 여러가지 어플리케이션 중에서 Nark(archdragon)님의 프로그램 소개를 보면, 전국의 지하철 열차시각 정보와 검색이 가능한 MMetro는 상당히 매력적인 프로그램입니다. QT library를 깔아야 하기 때문에 우선 사용할 준비는 다 되어있습니다만 아직 시도하지는 않고 있습니다.

우선 MMetro 소개글: http://cafe.naver.com/nokiaa/143006
Nark(archdragon)님의 블로그: http://blog.naver.com/archdragon

이 프로그램은 공개이지만 사용을 하기 위해서는 각 휴대폰의 IMEI에 따른 key가 필요하고, 이것을 받기 위해서는 Donation이 필요합니다. 단 2000원만이기 때문에 유료 어플리케이션을 사용한다고 보면 무척 저렴한 가격이라서 주저할 필요가 없었습니다. 블로그를 보면 MMetro 프로그램과 설명, QT library 파일이 있습니다. 버전이 바뀌면서 프로그램 내용이 달라지고 있기 때문에 확인이 필요합니다.

Posted by 향여우고냥
,
100번 전화합니다. "최고의 감탄사 올레! 올레 KT 고객센터입니다..."
→ 4번: KT 휴대폰 및 와이브로
→ 휴대폰 번호+#
→ 3번: 아이폰,FMC,와이브로 등 스마트폰
→ 0번: 상담원 안내

노키아폰이라고 하니 잘 모르던데.. 일단 아이폰이라고 하고 네스팟 아이디를 확인하고 싶다고 이야기를 하면 아이디를 불러줍니다. 비밀번호는 초기화 해서 문자로 보내준다고 하길래 그러라고 하고 통화를 마쳤습니다.

문자가 옵니다. "요청하신 임시 비밀번호는 [*********]입니다."

이제 네스팟 홈페이지에 가서 MacID를 등록하고, 접속 비밀번호를 변경합니다.

1. 단말기 전화기 화면에서 *#62209526# 을 누르면 팝업으로 MacID가 뜹니다. 제 경우 a8:7b:39:**:**:** 로 뜨는데, 이를 따로 적어놓던지 아니면 팝업을 유지시켜놓으시면 됩니다. www.nespot.com 으로 접속하면(Qook으로 통합했기 때문에 현재는 네스팟으로 접속이 되지만 혹시 안된다면 절대주소는 여기: 네스팟) 팝업에 비밀번호 변경하러 가기도 뜨구요, 왼편 첫번째 네모칸에 [MAC ID 등록] 메뉴도 보입니다. 우선 비밀번호를 내게 익숙한 것으로 만듭니다.

2. 앞 페이지의 팝업창에 있는  링크를 루르면 화면이 KT웹회원 화면으로 바뀝니다. 링크가 영 맘에 안드는 것이, 로그인 화면으로 넘어가는 것이 아니라 아이디/비밀번호 확인 화면으로 넘어가는군요. 쿡 홈페이지로 바로 들어가서 오른쪽 상단의 [로그인]을 하시는 것이 좋겠네요. 로그인 페이지 클릭 여기에 방금 전화로 확인한 아이디와 문자로 온 비밀번호를 넣습니다. 오른쪽 위의 [회원정보수정]을 누르시면 통합아이디 설명이 나오지만 신경쓰지 말고 왼쪽 메뉴의 두번째 [비밀번호 변경]에 들어가서 비밀번호를 등록하시면 됩니다.

3. 그럼 다시 네스팟 페이지로 갑니다. [MAC ID 등록]의 go를 눌러 새로 뜨는 창에서 ID와 MacID를 넣습니다. 앞 6자리는 (제 경우 a87b39) 바를 눌러 선택을 하고, 위의 여섯자리숫자를 넣어주면 끝납니다. 이제 네스팟 존에서 Wi-Fi 검색 후 네스팟을 선택하고 아이디와 비밀번호를 한번 넣어주면 다음번부터는 네스팟 존에서 선택만 하면 바로 접속이 됩니다.


아시는 분들은 다 아시겠지만 네스팟플레이는 모바일 기기를 위한 상품입니다. 요금은 아이폰/아이팟터치, 삼성 디카, 니콘 디카의 경우에는 약정없이 3,000원이고 소니 PSP의 경우에는 약정도 있네요. 자세한 내용은 네스팟플레이 페이지를 참조하시면 되겠고.. 스마트폰 상품 중 i-요금제를 쓰거나 부가서비스 스마트 500 이상을 쓰면 이 사용요금 없이 네스팟을 쓸 수 있습니다. 스마트 스폰서에 가입한 저는 i-슬림 요금제를 쓰고 있습니다.

그리고, 여기저기 있는 네스팟존에서 휴대폰이 아닌 노트북 등의 기기로도 네스팟을 사용할 수 있다고 합니다. 기기의 MacID를 휴대폰의 MacID로 바꾸면 되는 것인데요, 노트북을 쓸 때에는 휴대폰 연결을 자제하는 것이 좋다고 하더라구요. 노트북 등의 기기에서 접속할 때에는 접속 프로그램이 필요합니다.
네스팟 접속 프로그램: NESPOT CM v5240_XP_Setup.exe

2010/04/12 - [技術/Computer] - [Nespot Play] 노트북/넷북 MAC ID (맥어드레스) 설정
Posted by 향여우고냥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