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技術/Nokia N5800 XpressMusic'에 해당되는 글 11건
- 2010.12.02 MOMAX 액세서리 for 익뮤
- 2010.08.16 [Nokia S60] 구글 캘린더 동기화
- 2010.08.10 Olleh KT membership - KT 멤버쉽 서비스
- 2010.08.04 [Nokia S60] 프로그램(폰트라우터, 폰트매니저 등) 없이 폰트 바꾸기 2
- 2010.07.28 휴대폰 - 맞춤형 충전 거치대
- 2010.06.03 휴대폰 SKT & KT
- 2010.05.14 [OviMap] 오스트리아에서 오비맵 사용하기
- 2010.04.19 [N5800_application] MMetro by Nark(arcdragon)
- 2010.04.12 [네스팟플레이] N5800 네스팟 이용하기
- 2010.03.26 [Nokia N5800] Ovi Store
최근 구글 캘린더를 사용하면서 왠지 구글 캘린더와도 동기화가 될 것 같아서 조금 찾아보니 구글에서 관련 내용을 설명하는 페이지를 만들어두었습니다.
http://www.google.com/support/mobile/bin/answer.py?hl=en&answer=147951
먼저 Nokia Ovi Store에서 Mail for Exchange 어플을 깔아야 합니다. 프로그램이 깔릴 폴더를 선택하는 화면없이 그냥 설치가 되네요. 두개의 어플이 깔리는데, Com. Dir.은 Mail for Exchange의 내용에서 검색하는 도구이고, Mail for Exchange가 활용하려는 어플입니다.
이제 SKT, KT, LGT 처럼 'T'로 끝나는 이름 세개로 이동통신사를 구분하던 시대는 끝났나봅니다. SKT는 이름을 바꾸고 있지 않지만 KT는 이제 olleh KT로, LGT는 LG U+로 이름을 바꾸어서 이미지 변신을 하고 있지요. 한참 'WoW'.. "Olleh !!!" 하던 KT의 광고가 인기를 끌면서 olleh라는 단어가 뇌리에 콕 박혔고, 'Yo'라는 컨셉트를 잡은 LG U+는 이동통신 뿐 아니라 인터넷과 IP TV까지 망라하는 서비스를 귀에 쏙들어오는 '요!' cf와 함께 팍팍 밀고 있습니다.
한 통신사의 것을 모두 써야 좋다고는 하지만 한번 인연을 맺고 나면 끊기 힘들어하는 저로서는 여전히 011 번호의 SKT 휴대폰을 가족할인으로 살려두고 있고, 노키아 익뮤를 애용하는 KT 회원이기도 하고, 집의 인터넷과 TV, 인터넷 전화는 LG의 xpeed+070을 사용하고 있지요.
그중 KT에서는 원래 명의자 한명에 휴대폰이 두개인 경우 명의자에게는 한개의 멤버쉽 카드만을 인정하고 있었습니다. 그건 SKT도 마찬가지입니다만, 실 사용자 명의의 멤버쉽 카드를 만들 수는 있지요. 이번에 바뀐 olleh KT 멤버쉽은 휴대폰 하나당의 기본 포인트를 휴대폰 개수만큼 명의자에게 줍니다. 이전의 KT 멤버쉽 포인트와의 혼돈을 줄이기 위해서인지 이 새로운 포인트는 '별' 개수로 셀 수 있습니다. 기본적으로 한 휴대폰 번호당 2만개(VIP인 Black suit 등급은 5만개)의 별이 주어집니다. 또한 현재 KT 멤버쉽의 잔여포인트도 이관이 가능합니다. 제가 6월에 신청할 때에는 멤버쉽 포인트를 전환할 때 5,000점을 그냥 주었습니다만 8월 현재 바뀐 내용을 보면 [현재 KT 멤버쉽 잔여포인트]와 [별 2만개] 중 숫자가 큰 것으로 선택하게 해주는 것이더라구요. 제 경우에는 노키아 익뮤 3개월 버스를 타면서 KT의 휴대폰을 두개 갖고 있는데, 각각 20,000점, 위에서 말한 전환보상 5,000점에 소소한 포인트를 좀 더 받아서 47,800점으로 시작을 했습니다. 아래가 제가 전환할 때의 적립 내역입니다.
Olleh KT 멤버쉽 가이드
새로 바뀐 제휴사들과 혜택들은 기존의 KT 멤버쉽으로는 적용이 불가합니다. 물론 지금의 멤버쉽 포인트를 다 쓴 후에 전환해도 되겠지요.
Show 공식 블로그의 AtoZ를 보시면 가입방법과 혜택들이 일목요연하게 설명되어있습니다. 이 별 포인트로 휴대폰 요금의 음성통화료 결제가 가능한 것이 가장 마음에 드네요. 적어도 못써서 남은 포인트를 없애는 일은 안 생기겠지요.
혜택을 조금 살펴보면 olleh KT 멤버쉽 회원들은 기프티샾에서 기프티콘을 10% 할인가로 살 수가 있습니다. 별 차감 없이 할인되고, 별로 기프티콘을 살 수는 없구요. 가족끼리는 별 양도도 가능하지만 가족관계 증명서를 가지고 센터로 가야 하는 점이 좀 귀찮으네요.
또한 제휴사 사용에서 olleh KT로는 한계없이 쓸 수 있다는 것. 한 가맹점 당 하루에 한번..과 같은 제한이 없어졌다는 것이지요. 그래서 편의점에서 무언가 하나 사면서 할인받고, 깜빡 잊은 것을 추가로 사면서 또 할인받을 수 있게 되었습니다. 아래는 제 핸펀 문자메세지들입니다. GS 25, (주)코리아..는 세븐일레븐이구요, 지난 주말의 할리스까지. '사용횟수 제한없음'이라고 꼭 알려주더라구요.
[제휴사 정리] - 2010.08.09. 현재, black suit 서비스와 다운타운샵 서비스가 더 있음
>> 편의점
GS25, 바이더웨이, 세븐일레븐: 15% 차감할인
>> 영화
CGV 온라인 예매시 정액할인(연 12회, 일1회)
제휴 영화관: 현장 1,000원 차감할인
>> 패밀리레스토랑/외식
아웃백: 15% 차감할인
타이오키드: 10% 차감할인
서귀포 칼호텔 살레 레스토랑: 10% 차감할인
제주 칼호텔 내 은하수,심향,사라,한라: 10% 차감할인
>> 피자/패스트푸드
KFC, 피자헛, 파파존스, 빨간모자피자: 15% 차감할인
부오나피자: 10% 차감할인
>> 커피/베이커리
할리스, 자바씨티, 정항우케익, 뚜레쥬르: 10% 차감할인
>> 공연/문화/음악
인터파크 티켓 티키 유료회원 가입비 1만원 할인
닥스클럽 5% 할인(별 3,000개 차감)
스마일 멀티방 평일 1시간 유료이용시 30분 추가(별 3,000개 차감)
>> 레저/여행/스포츠
KT금호레터카: 제주 제외 차감없이 40% 할인,
오토오아시스, 카젠: 엔진오일 1만원 차감할인
한화콘도: 준회원가(주중 5,000점, 주말/성수기 10,000점 차감)
롯데월드: 자유이용권 40% 차감할인
서울랜드: 자유이용권 30% 차감할인
경주월드 어뮤즈먼트: 자유이용권 3,000원 차감할인
프리존 아이스링크 테마월드: 별 차감없이 20% 할인
웨스턴 마카로니 테마파크: 1,000원 차감 할인
>> 뷰티
준오헤어, 로즈존: 별 차감없이 15% 할인
박준뷰티랩, 마샬뷰티살롱, 헤어살롱B&G,새리미용실: 별 차감없이 20% 할인
헤어플러스, 화미주: 20% 차감할인
이브클라인 뷰티센터: 10% 차감할인
웰킨 두피/탈모 전무센터: 탈모관리 1만원 차감할인
>> 쇼핑/키즈/교육
네오포토, JCB, 리얼룩: 별 차감없이 10% 할인
포토큐브: 별 차감없이 55% 할인
365홈케어: 건강관리서비스 30~50% 별 차감 없이 할인
오피스웨이, 이지요, 오가게: 별 차감없이 5% 할인
종가푸드샵: 셋트메뉴 중 8종 별 차감없이 20% 할인
앤스타일샵, 베이비윙크: 5% 차감할인
포유피아: 사진촬영 특별할인가 별 차감 없음
베이비킴스, 글로벌21: 별 차감없이 20% 할인
외대전화영어: 별 차감없이 최대 15% 할인
하지만 저는 v20 커펌 상태(네이버 기네스북 님의 노키아 까페 포스트 참조)이고, 어느 프로그램인지 기억도 못하지만 여튼 폰트라우터를 깔기 싫었던 터라 노키아까페 글 검색에 들어갔습니다. 역시 찾는자에게 복이 있나니. 폰트라우터를 깔지 않고 글씨체 바꾸기(네이버 친개냥(daerix) 님의 노키아 까페 포스트)가 있군요.
내용인 즉슨, 폰트 .ttf 파일을 받아서 노키아의 z:\resource\Fonts에 있는 폰트명과 동일하게-우리나라에서 출시되는 노키아에는 Korea라는 이름이 붙은 폰트가 하나 더 있는데, 한가지의 .ttf 파일을 복사하여 같은 내용의 다른 이름 파일을 두개 만드는 것입니다-해서 E\resource\Fonts에 복사하여 넣는 것입니다.
v20 커펌을 하면 원래 순정에는 보이지 않던 어플들이 나타나는데, 새로 나타난다는 게임은 제가 관심이 별로 없어서 넘어가고 System 아래에 있는 FileBrowser가 마음에 들더군요. 그래서 X-plore나 Y-Browser를 따로 깔지 않았습니다. N5800에는 Phone memory(c:\)와 Memory card (e:\) 말고도 RAM (d:\)과 ROM(z:\)이 더 있습니다.
먼저 제 익뮤의 기본 폰트 이름을 확인하겠습니다. 친개냥님의 글 내용과 같은 기본 폰트의 파일명이네요.
그리고 폰트를 찾아야지요. 한중일영 폰트가 모두있다는 ms폰트입니다. 네이버 시옹마오 님께서 올려주신 자료를 받았습니다. 이 폰트는 MicrosoftYahei-Tahoma.ttf 군요. 용량은 10.7 메가바이트입니다. 이를 복사 해서 기본 폰트와 같은 이름의 파일을 두개 만들어두었습니다.
여기서, FileBrowser에서 E:\resources에 들어가서 디렉토리를 만들려고 하면 보안상의 이유로 안된다고 나옵니다. 익뮤를 USB로 연결해서 [내 컴퓨터]에 뜨는 Nokia N5800에 들어가서도 E:\resources에 접근은 되지만 파일 쓰기가 안됩니다. USB 연결시의 옵션에서 [PC Suite]로 연결을 하는게 가장 안정적이어서 이걸로 쓰고 있었는데, 이런 경우에는 접근성이 좋은 File Explore인 Total Commander의 힘을 빌려야겠습니다. USB 연결 옵션 중 [Mass Storage]를 선택해서 E:\resources의 속성을 확인하니 역시! 읽기 전용으로 되어있네요. 쓰기 가능하게 속성을 바꾸고 E:\resources\Fonts 디렉토리를 만든 후 두개의 .ttf 파일을 복사합니다. 그리고 재부팅을 하면 폰트가 바뀌어있습니다. 일본어 한자도 이쁘게 잘 나오구요. 방금 전까지 쓰던 폰트가 아니라서 살짝 어색함이 있습니다만 이 글씨체 아주 마음에 듭니다.
역시나 [Mass Storage]에 들어갔다 나오면 Message의 기본 연결이 phone memory로 바뀌어 있네요. 이건 아마도 PC와 연결할 때에는 익뮤의 이동식 디스크에서는 원래 사용하던 C:\와 E:\를 사용할 수가 없어서-제 PC에는 C: system, D: data, E: CD-ROM이기 때문입니다.- Message center에서 default 상태의 phone memory를 잡아버리기 때문이 아닐까 생각합니다.
지난 7월 30일 MS Yahei-Tahoma 폰트를 깔고 사용하고 있었는데, 용량이 10M가 넘다보니 조금 무거운 감이 있네요. 글씨 로딩이 조금 느려요. 그리고 내가 잘못 쓰는 글자와 상대방이 약간 철자법에 어긋나는 글을 쓰면 그 글자가 빈칸이 되어버리는 것이 있어서, 폰트를 다시 바꾸었습니다. 오늘 8월 4일 현재 네이버 블루캣(vluecat)님께서 만들어주신 삼성고딕체를 사용 중입니다.
휴대폰마다 충전 방식이 다르지만 처음 휴대폰을 사면 배터리(충전지)가 두개 들어있는 경우가 대부분일 것입니다. 전화기마다 충전지를 교체하는 방식이 다르지만 요즈음 들어서 대세는 뒷 커버를 벗기고 리튬 이온 배터리를 끼웠다 뺐다 하는 것이지요.
충전하는 방식은 규격 24핀을 젠더 없이 사용하는 부류가 있고, 젠더를 사용해서 충전하는 방식이 있습니다. LG 폰들은 모델마다 젠더가 조금 다른 경우가 많고, 삼성 폰들은 그나마 20핀으로 규격화 되는 경향이 있네요. 젠더가 필요한 경우에는 휴대폰 박스 속에 24핀 충전기와 결합되는 젠더가 포함이 되어있습니다. 요새 24핀 충전기는 휴대폰 박스 속에 잘 없죠. 휴대폰을 살 때 달라고 하면 끼워주긴 하지만 대략 집마다 가족 수대로는 가지고 있지 않나요? 저 같은 경우에는 혼자 살지만 LG 070 인터넷 전화기도 24핀 충전기를 쓰고 있고, 집에 하나, 사무실에 하나 그렇게 세개를 갖고 있습니다.
현재 제가 사용하고 있는 휴대폰은 두가지. 년수로 4년차인 LG 샤인폰과 반년이 안된 노키아 MusicXpress (N5800)입니다. 샤인폰의 경우에는 젠더가 필요하구요. 노키아는 충전기 자체가 좀 다릅니다. 휴대폰과의 결합부분이 이렇게 생겼어요.
집에는 충전기를 놓아두고, 사무실에는 usb 충전기를 갖다 놓았습니다. PC에 꽂아서 사용하는 것보다는 220V에 꽂아서 usb 충전을 하는 방식이 더 낫지 않을까 - 일단 빨간 불이 파란 불로 바뀌는 것을 가시적으로 볼 수 있다는 점도 있지요 - 싶어서 아래 사진처럼 하얀색 기기를 사용해서 충전하고 있습니다. 정품 충전기보다 시간이 더 걸리긴 하네요.
문제는 집과 사무실에서 벗어날 때인데, 특히 여행이라도 갈라치면 짐을 하나라도 줄이고 싶은 것이 짐 줄여 못싸는 제 마음이라서요. 그래서 충전지를 거치해서 충전하는 것을 찾게 되었습니다. 중요한 것은 24핀 충전기(접근성이 좋죠. 어느 식당에 가도 있으니까요)를 활용할 수 있느냐인데, 네이버 노키아 공식 사용자 모임에서 공구하는 물품은 아래와 같은 상황입니다.
- http://cafe.naver.com/nokiaa/208982
노키아 충전기, usb 충전 케이블 사용 가능한 충전기 2개짜리 거치대: 8,000원
노키아 충전기 사용 거치대: 8,000원
- http://cafe.naver.com/nokiaa/208982
110V 전원(돼지코 필요), usb 충전 케이블 사용 거치대: 8,000원 (품절)
노키아 전제품 배터리 충전 가능한 노키아 충전기, usb 사용 거치대: 9,000원
그래서 제 선택은 구글링. 역시 저랑 비슷한 생각을 하시는 분을이 계신 덕분에 '맥가이버샾'이라는 곳을 찾았습니다. 맞춤형 충전 거치대를 아주 저렴한 가격에 판매하고 계셨습니다. 3.7V 리튬이온 충전지는 모두 다 사용할 수 있군요. 디지털 카메라, PDA, 휴대폰 등 모두 잘 들어맞는 사이즈로 만들어 주십니다. 리스트 맨 아래에 반가운 N5800의 모습이 보이는군요! 사당의 사무실에 방문하면 5분 안에 만들어주신다고 합니다. 저는 지난 7월 14일날 주문을 해서 바로 다음날 받아서 사용하고 있었습니다. 사용 중이긴 했지만 이번주에 지인에게 선물을 했구요, 다음 주 서울 갈 때 시간을 내어 한번 둘러볼까 생각 중입니다.
제가 받은 충전기 모습입니다. 친절하게도 'Nokia 5800'이라는 이름과 함께 '배터리 장착 후 충전기 연결'이란 설명도 붙어있습니다. 동그란 구멍은 배터리를 뺄 때 뒤편에서 손가락을 살짝 넣어두면 수월하게 분리할 수 있구요, 24핀 충전기와 결합한 모습도 함께 합니다. 사무실의 24핀 충전기가 PC 본체 위에 휴대폰을 놓을 정도로만 길이 조절이 되어있어서 배경에 사무실 바닥이 보이는군요^^ 함께 온 간단 설명서도 붙여둡니다.
주소: 서울시 동작구 사당1동 1051-25 옥암빌딩 3층 텔스타 (우편번호 156-827)
전화: 02-889-0180, 018-269-6098
이메일: keosanglee@yahoo.co.kr
저는 99년에 SKT에 가입한 이후로 10년 이상 011 번호를 계속 사용하고 있는 사용자입니다. 황금번호도 아니고, 중간 번호가 세자리도 아닙니다. 그냥 011-9119-XXXX라는 번호를 사용하고 있습니다. 중간에 번호를 한번 바꾸기는 했습니다만 010이 나오기 전이라 여전히 011이지요. 번호이동을 하지 않은 이유는 사실 장기가입 고객에 대한 특별한 우대 때문 보다는 어쩌다보니 통화량이 많아서 SKT VIP 멤버쉽 포인트를 받고 있었던 것도 있었고, 생각보다 전화기를 자주 교환할 일이 없었던 것도 있었지만 번호가 마음에 들어서였던 것이 크긴 했습니다. 사실 제 번호는 0-119-119-XXXX라고도 쓸 수 있거든요.
풀터치폰이 나오면서 마음이 많이 흔들리기도 했습니다. 작년에는 결국 아몰레드폰을 LGT로 신규가입해서 써보기도 했습니다. 그 때 기기결함으로 환불을 받는 덕분에-저로서는 아주 다행인 일이었습니다. 출시 초기에 비싼 금액으로 샀는데 곧 옴니아2가 유행을 선도하면서 금액이 뚝 떨어졌거든요- 그 사이에 해지하지 않았던 SKT를 계속 사용할 수 있었구요. 그 다음에는 스마트폰에 관심이 생겨서 노키아 N5800 XpressMusic을 KT 신규가입으로 손에 넣었습니다. 그게 벌써 석달 전 일입니다.
하지만 제게는 아직 SKT 폰이 있습니다. 휴대폰을 두개 사용하고 있답니다. 부모님과 동생이 최근에 SKT로 다시, 또는 그냥 넘어오면서 온가족 할인으로 묶었을 때 제 10년 가입기간 덕분에 꽤 할인을 많이 받고 있기 때문에 최소 금액의 기본요금을 걸어두고 해지하지 않고 있습니다. 착신전환 서비스를 사용하여 노키아폰으로 전화를 받고 있지요. SKT에서는 7년 이상 장기가입고객에게는 사용요금과 상관없이 Gold Membership을 주고 있는 점도 감사히 사용하고 있습니다. 온가족 할인으로 묶여있는 경우 가족간 포인트 양도가 가능하기 때문에 부모님의 포인트도 제가 받아 쓰고 있으니 꼭 손해라고 볼 수는 없는 것 같습니다.
사실 노키아폰으로 SKT를 사용할 수는 있습니다. KT와는 6개월 유지조건으로 가입을 했기 때문에 3개월 후에는 KT를 해지하고 SKT 유심카드를 사서 쓸 수도 있지요. 하지만 KT의 Wi-Fi 망과 네스팟을 사용할 수 있다는 장점 때문에 아마 지금처럼 2폰 체제를 유지하게 되지 않을까요.
Hallstatt로 가는 기차 안에서 나의 익뮤를 찍은 모습. 아래 보이는 호수가 Hallstatt 앞의 호수이고, 호수 오른쪽의 파란 열차 그림이 Hallstatt 역, 왼쪽의 붉은색 점이 Hallstatt 마을의 모습이다. 철도길을 따라 역으로 가서 배를 타고 건너가는데, 대략 도착 직전의 모습. 현재 위치는 호수 북쪽의 빨간 동그라미. 화면 위의 까만 네모 안에는 화면 중간의 점선 동그라미 부분의 지명이 나온다. 너무 맘에 드는 익뮤.
네이버 노키아 공식 블로그(http://cafe.naver.com/nokiaa)에 올려져있는 여러가지 어플리케이션 중에서 Nark(archdragon)님의 프로그램 소개를 보면, 전국의 지하철 열차시각 정보와 검색이 가능한 MMetro는 상당히 매력적인 프로그램입니다. QT library를 깔아야 하기 때문에 우선 사용할 준비는 다 되어있습니다만 아직 시도하지는 않고 있습니다.
우선 MMetro 소개글: http://cafe.naver.com/nokiaa/143006
Nark(archdragon)님의 블로그: http://blog.naver.com/archdragon
이 프로그램은 공개이지만 사용을 하기 위해서는 각 휴대폰의 IMEI에 따른 key가 필요하고, 이것을 받기 위해서는 Donation이 필요합니다. 단 2000원만이기 때문에 유료 어플리케이션을 사용한다고 보면 무척 저렴한 가격이라서 주저할 필요가 없었습니다. 블로그를 보면 MMetro 프로그램과 설명, QT library 파일이 있습니다. 버전이 바뀌면서 프로그램 내용이 달라지고 있기 때문에 확인이 필요합니다.
→ 4번: KT 휴대폰 및 와이브로
→ 휴대폰 번호+#
→ 3번: 아이폰,FMC,와이브로 등 스마트폰
→ 0번: 상담원 안내
노키아폰이라고 하니 잘 모르던데.. 일단 아이폰이라고 하고 네스팟 아이디를 확인하고 싶다고 이야기를 하면 아이디를 불러줍니다. 비밀번호는 초기화 해서 문자로 보내준다고 하길래 그러라고 하고 통화를 마쳤습니다.
문자가 옵니다. "요청하신 임시 비밀번호는 [*********]입니다."
이제 네스팟 홈페이지에 가서 MacID를 등록하고, 접속 비밀번호를 변경합니다.
1. 단말기 전화기 화면에서 *#62209526# 을 누르면 팝업으로 MacID가 뜹니다. 제 경우 a8:7b:39:**:**:** 로 뜨는데, 이를 따로 적어놓던지 아니면 팝업을 유지시켜놓으시면 됩니다. www.nespot.com 으로 접속하면(Qook으로 통합했기 때문에 현재는 네스팟으로 접속이 되지만 혹시 안된다면 절대주소는 여기: 네스팟) 팝업에 비밀번호 변경하러 가기도 뜨구요, 왼편 첫번째 네모칸에 [MAC ID 등록] 메뉴도 보입니다. 우선 비밀번호를 내게 익숙한 것으로 만듭니다.
2. 앞 페이지의 팝업창에 있는 링크를 루르면 화면이 KT웹회원 화면으로 바뀝니다. 링크가 영 맘에 안드는 것이, 로그인 화면으로 넘어가는 것이 아니라 아이디/비밀번호 확인 화면으로 넘어가는군요. 쿡 홈페이지로 바로 들어가서 오른쪽 상단의 [로그인]을 하시는 것이 좋겠네요. 로그인 페이지 클릭 여기에 방금 전화로 확인한 아이디와 문자로 온 비밀번호를 넣습니다. 오른쪽 위의 [회원정보수정]을 누르시면 통합아이디 설명이 나오지만 신경쓰지 말고 왼쪽 메뉴의 두번째 [비밀번호 변경]에 들어가서 비밀번호를 등록하시면 됩니다.
3. 그럼 다시 네스팟 페이지로 갑니다. [MAC ID 등록]의 go를 눌러 새로 뜨는 창에서 ID와 MacID를 넣습니다. 앞 6자리는 (제 경우 a87b39) 바를 눌러 선택을 하고, 위의 여섯자리숫자를 넣어주면 끝납니다. 이제 네스팟 존에서 Wi-Fi 검색 후 네스팟을 선택하고 아이디와 비밀번호를 한번 넣어주면 다음번부터는 네스팟 존에서 선택만 하면 바로 접속이 됩니다.
아시는 분들은 다 아시겠지만 네스팟플레이는 모바일 기기를 위한 상품입니다. 요금은 아이폰/아이팟터치, 삼성 디카, 니콘 디카의 경우에는 약정없이 3,000원이고 소니 PSP의 경우에는 약정도 있네요. 자세한 내용은 네스팟플레이 페이지를 참조하시면 되겠고.. 스마트폰 상품 중 i-요금제를 쓰거나 부가서비스 스마트 500 이상을 쓰면 이 사용요금 없이 네스팟을 쓸 수 있습니다. 스마트 스폰서에 가입한 저는 i-슬림 요금제를 쓰고 있습니다.
그리고, 여기저기 있는 네스팟존에서 휴대폰이 아닌 노트북 등의 기기로도 네스팟을 사용할 수 있다고 합니다. 기기의 MacID를 휴대폰의 MacID로 바꾸면 되는 것인데요, 노트북을 쓸 때에는 휴대폰 연결을 자제하는 것이 좋다고 하더라구요. 노트북 등의 기기에서 접속할 때에는 접속 프로그램이 필요합니다.
네스팟 접속 프로그램: NESPOT CM v5240_XP_Setup.exe
2010/04/12 - [技術/Computer] - [Nespot Play] 노트북/넷북 MAC ID (맥어드레스) 설정
1. BrightLight
가장 간단한 전등 어플입니다. 아날로그 느낌이 나게 스위치를 눌러서(touch) 밀어올리면(slide) 켜지고 반대로 내리면 꺼집니다.
2. Biorhythm
보라색 화면이 마음에 들어서 깔았습니다. 감성,신체,지성의 sine 곡선이 돌고 있지요. 오늘의 바이오리듬은 감성 -62, 체력 -100, 지성 37. 움직일 생각은 말고 우울해도 달래가면서 일하라는 이야기겠군요.
3. Level
수평계입니다. 4방향(좌우,전후 라면 설명이 될까요) 수직으로 있는 두개의 수평계가 나타납니다. 이미 아크릴 안에 들어있는 수평계에 익숙한 저로서는 탐나는 어플이었습니다.
4. SudokuCube lite
무료버전인 lite를 받았더니 어플을 끝낼때마다 상위 버전을 살거냐고 물어보네요. 스도쿠 어플들은 대부분 유료가 많은 것 같던데 일단 높은 레벨이 아닌 저로서는 이정도로 시작해보려고 합니다. N5800에는 출시 때부터 들어있는 게임이 하나 있는데, BounceKR이라는 이 프로그램은 GxG를 이용하는 게 아니라 터치만을 이용하는 것 같더라구요. 마리오 류의 게임은 모두 못하는 저로서는 아마 곧 지우게 되지 않을까 하는 어플입니다.
5. Fring
MSN 메신저를 사용할 수 있는 free 어플을 검색해보니 4개가 있었는데, 무료채팅과 음성통화를 지원해주는 Nimbuzz와 Fring 둘 사이에서 조금 고민을 하다가 아이콘이 귀엽다는 이유로 우선 깔아봤습니다. 어제밤에 테스트해본 결과 작동 잘 하구요. GTalk과 Skype, Facebook, Twitter 등이 지원됩니다. 리스트에 몇개 더 있었는데, 기억이 안나네요. 오늘 저녁에는 스크린샷 프로그램을 깔아서 확인해보도록 하겠습니다.
VolP 어플이기 때문에 전화가 되는데, 이에 대해서는 공부 좀 해보고 시도해보아야 하겠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