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글은 "인터파크도서"에서 작성되었습니다.
이글은 "인터파크도서"에서 작성되었습니다.
익뮤 사용 10개월차.. 정압식인 익뮤를 사용하다 보니 손톱이며 스타일러스 펜에 희생당한 액정 보호 필름도 갈아줘야겠고, 충전기가 하나만 있다보니 불편한 점도 있어서 사무실에 놓고 쓸 충전기도 하나 사면서 추가 배터리도 사고... 이 모든건 네이버 노키아 공식 까페(http://cafe.naver.com/nokiaa)에서 공동구매로 사기로 했습니다.
관련 페이지: 마두호수(webmaste)님의 글 http://cafe.naver.com/nokiaa/283784
먼저 도착한 녀석들을 늘어봤더니, 충전기(배터리 충전과 usb 연결 포트가 동시에 있는 통합 충전기), 액정보호필름, 배터리, 그리고 돌돌이 USB 케이블. 이 USB 케이블은 서비스로 하나 더 왔네요. 감사한 일입니다.
충전기 단품은 \16,000원, MOMAX 배터리 1개(개당 가격 \15,000)와 패키지로 사면 할인가 \29,000에 살 수 있습니다(공동구매 페이지의 [3-5]에 해당). 사실 처음에는 충전기+배터리1 통합 패키지[3-5](\29,000) + 배터리2개(\28,000)[3-2]를 샀기 때문에 57,000원을 쓴 셈이 되었지만, 보유한 배터리가 2개밖에 없다는 연락에 14,000원을 돌려받는 덕에 16,000+28,000 > 29,000+28,000-14,000 결과적으로 천원 이득봤습니다. 액정보호필름은 5개 \15,000[25-3], 돌돌이 USB 케이블은 \2,500, 물론 배송비 \2,500도 냈습니다.
사실 돌돌이 USB 케이블은 살 필요가 없었습니다. 충전기 내용물에 USB 케이블이 있더라구요. 이미 가지고 있는 짧은 케이블도 있는 상황이라 잉여물품이 생겨버렸습니다.
제 눈길을 가장 많이 끌었던 것은 이 겸용충전기입니다. 공동구매 리스트에 있는 MOMAX 충전기 두 종류 중에서 이것을 선택한 것은 겸용이 되기 때문이었는데, 결과적으로 싼 가격에 아주 마음에 드는 녀석을 입양한 것이 되었지요. 케이스에서 꺼낸 본체는 밝은 회색이고, USB 연결하여 익뮤 본체에 바로 충전할 수 있는 케이블과, 플라스틱 조각 하나와 설명서가 함께 들어있습니다.
사진이 뒤집어져 있긴 하지만 일단 노키아의 여러 배터리 종류가 모두 충전 가능하다는 이야기이고, 아래쪽의 LED 두개는 왼쪽은 배터리 단자, 오른쪽은 USB 단자의 연결 상태를 보여줍니다. 전원이 들어오면 일단 녹색이고, 충전 시에는 파랑색이 되었다가, 완충이 되면 다시 대기모드의 녹색 LED가 들어오게 됩니다.
앞에서 말씀드렸던 것처럼 충전용 USB 케이블이 함께 들어있구요..
이제 역시 MOMAX에서 나온 충전지를 끼워봐야겠죠? 익뮤용 BL-5J 충전지는 정품의 경우 1320 mAh이고, MOMAX 충전지는 1350 mAh 용량으로 쬐끔~ 더 큽니다. 그리 큰 차이는 없을 것 같지요?
자~ 배터리를 끼워봅시다.
공구 설명에 나와있듯이~ 살짝 비는 공간이 보입니다. 이 때 충전기 내용물 사진에 있던 하얀 플라스틱 조각이 필요합니다.
대략 맞는 것 같죠?
자세히 보면 홈이 나있고, 플라스틱 조각에도 약간의 걸리는 부분이 있어서 저 빈 곳을 채울 수 있게 되어있습니다. 딸깍하고 끼우면 잘 빠지지 않아서 사진을 찍기 위해서 다시 빼는데 혹 부러지진 않을지 걱정이 되었습니다.
끼운 모습은 이렇게~
배터리를 끼워보면 조금 빡빡합니다. 아니, 조금이 아니라 꽤 빡빡해서 나중에 뺄 일이 걱정이 되더라구요.
손톱이 긴 저는 차마 손으로 빼내지 못하고 도구를 이용해서 손톱이 있는 부분 아래로 배터리를 뽑아냅니다. 사용하다보면 조금 헐거워질수도 있는데 도리어 빡빡한 것이 맘에 드네요.
자 그리고 다음은 뒤쪽 부분을 봅시다. 옆면에 USB 단자가 있고, 220V 로 끼우는 부분은 플라스틱 색깔도 조금 다르고 아래쪽에 밀어올리라는 표시도 있습니다.
빼보면 이렇게 아답터 단자가 나옵니다.
220V 단자 하나만 들어있는데, 여행용 멀티 아답터가 있으니 여러개 있을 필요는 없겠구요. 설명서에 보면 각 나라 별로 이 단자가 다르게 나온다는 걸 알 수 있습니다. 제가 받은 물품은 유럽형. 그래서 끝이 둥근 저 부분이 조금 가늘긴 하네요. 사용하는 데에는 문제 없습니다.
아답터 형식으로 된 것을 보니, 문득 호환성이 궁금해졌습니다. 좀 익숙한 아답터 단자이기도 하구요. 그래서 좀 자세히 읽어봅니다.
아답터 단자 모양이 익숙하다고 이야기 한 것은 제가 갖고 있는 Panasonic ZS3의 배터리 충전기의 연결 부분과 같아서인데, 뒷면을 확인해보면. MOMAX와 Panasonic 충전기 두개가 모두 INPUT 110V-240V~50/60Hz 0.2A라고 되어있습니다. 올레!!
이렇게 호환이 되는 것입니다~ 여행시에 220V 단자 하나라도 줄이는 것이 얼마나 기쁜지요 ㅎㅎ 배터리 충전기에 USB 충전이 동시에 되는 것만으로도 마음에 들었는데 뜻하지 않게 아답터를 함께 쓸 수 있다는 것도 알게 되었습니다.
참고로 충전시간은 네시간 정도 걸리다고 합니다. 노키아 정품 충전기로는 두시간 정도 걸리던 것 같았는데, 그만큼의 성능은 안되는 것이겠지만 네시간이면 그리 오래 걸리는 것만은 아니네요.
이제 충전을 걸어놓았습니다. 새 배터리 충전과 동시에 USB로 익뮤 충전을 하면서 사진을 찍어봅니다. 조금의 발열은 있는 것 같습니다만, USB 충전기의 발열은 늘 있는 일이니까요. 이렇게 득템한 것이 마음에 들때는 하루가 즐겁습니다. 액정보호필름도 새로 붙이고 (필름 붙일 때에는 더스트 블로어가 필수입니다!) 새로운 마음으로 익뮤를 바라봅니다.
늘 찾게 되는 sci 논문 검색.. 전체 리스트는 매년매년 달라지지만 정말 궁금한 것은 impact factor입니다.
http://www.metric.or.kr/11_aca/14_sci.metric
여기 링크를 보면, sci 논문의 issn 번호와 해당하는 SCI의 impact factor를 몇년에 걸쳐서 볼 수 있습니다. 출판사와 출판사 URL, 학회명과 학회/학회지 URL도 나와있기 때문에 매우 유용한 사이트입니다.
논문 리스트만 필요하다면 아래 리스트에서 재빨리 찾아볼 수 있고,
http://admin-apps.isiknowledge.com/JCR/JCR?RQ=TITLES_FULL
조금 더 심도있는 JCR 자료들도
http://admin-apps.isiknowledge.com/JCR/JCR?RQ=LIST_SUMMARY_JOURNAL
에서 확인할 수 있습니다.
http://www.metric.or.kr/11_aca/14_sci.metric
여기 링크를 보면, sci 논문의 issn 번호와 해당하는 SCI의 impact factor를 몇년에 걸쳐서 볼 수 있습니다. 출판사와 출판사 URL, 학회명과 학회/학회지 URL도 나와있기 때문에 매우 유용한 사이트입니다.
논문 리스트만 필요하다면 아래 리스트에서 재빨리 찾아볼 수 있고,
http://admin-apps.isiknowledge.com/JCR/JCR?RQ=TITLES_FULL
조금 더 심도있는 JCR 자료들도
http://admin-apps.isiknowledge.com/JCR/JCR?RQ=LIST_SUMMARY_JOURNAL
에서 확인할 수 있습니다.
자동차보험 뿐 아니라 운전자보험도 들고 있는 나로서는 (당연히 자동차 보험을 들 때 권유 받았다) 동생의 이야기에 귀가 번쩍 뜨였습니다. 동생의 말로는, 운전자보험을 굳이 들 필요가 없다는 것이었는데요.
2007년인가 자동차보험을 갱신하려다가 AXA의 운전자보험에 가입해서 매달 13,390원을 납부하고 있었습니다. 운전자보험을 들게 된 이유는 당연히 사고시 형사사건이 되는 경우 '즉시 구속'이라는 부분이 겁이 나서였지요. 운전자보험에서 지원해주는 형사합의지원, 벌금비용, 방어비용 때문에 혹시 모를 사고에 대비해 소멸성 보험인 운전자보험료를 매달 납부하고 있었더랬습니다. 당연히 이부분이 자동차보험의 기타특약으로도 된다는 사실을 몰랐던 것입니다. 아니 생각도 못했던 부분입니다. 보험사에서는 제가 분명 자동차보험 갱신을 위해 통화를 하는 중간에 운전자보험을 권유해주었고, 내가 '형사합의 때문에라도 해야하는 거군요'라는 이야기에도 자동차보험의 특약부분에 대해서는 이야기해주지 않았습니다. 물론 그런 부분은 내가 알아봐야했던 부분일 수도 있습니다.
여하튼간에, 9월 17일부터 갱신을 해야하는 자동차보험의 내년 보험료는 역시 AXA와 계약했고 금액은 674,880원입니다. 대인1, 대인2(무한), 대물 3천만원, 자손, 무보험차량 2억원, 자차, 긴급출동까지 포함된 가격입니다. 여기에 형사합의지원(실손형), 벌금비용(실손형), 방어비용 세가지를 포함하는 특약은 1년에 24,200원입니다. 오늘 통화 후 바로 운전자보험을 취소하고 자동차보험의 추가 특약을 결재했습니다.
물론, 운전자보험이 경우, 입원비 지원이나 사망보험금 지급, 보험료할증 위로금 지급이라는 추가 항목이 있습니다. 사망보험금은 다른 보험으로 만족을 하고.. 입원비도 자동차보험에서 해결이 되는 사항인데 거기에 추가 금액을 받는 부분이지요. 보험료할증위로금 이라는 건, (역시 AXA의 경우이지만) 50만원 이상 할증이 되는 경우 10만원의 위로금이 나오는 것이라고 합니다. 50만원 이상 보험료가 할증이 되는 경우가... 그리 흔하지는 않을 것으로 생각됩니다. 물론 입원비 지원의 경우에는~ 자동차사고 말고도 다른 입원도 지원을 해주는 것으로 알고 있기 때문에.. 조금 고민이 될 수도 있겠네요. 다른 보험을 어떤 것을 들었느냐에 따라서 선택의 기로에 서게 되겠습니다.
역시 아는 것이 힘이로군요. 알려준 동생에게 감사를^^
참고로.. 팁 두가지....
- 보험료 할증 기준금액을 사고당 50만원 → 200만원 으로 기준을 올려두세요. 50만원 기준에서 사고처리비용이 50~200만원 사이에는 3% 할증, 200만원 이상이면 10% 할증이 된다고 합니다(2010년 8월 확인, AXA 자동차보험의 경우). 이를 200만원 기준으로 올리는 데에는 만원 미만의 금액이 들어가지만 요새는 차량 부품값이 꽤 나가기 때문에 50만원은 쉽게 넘게 됨에 유의하세요.
- 혹시 AXA 다이렉트로 자동차보험을 갱신(신규 계약)하시는 경우, 아시아나 마일리지 2000점을 받을 수 있습니다. 아시아나 홈페이지에 보면 제휴 전화번호가 있는데 그쪽을 통해서 계약을 한 것이 아니라도, 또 이미 결재를 한 경우라도 갱신일(또는 보험시작일) 도래 전에 신청하시면 마일리지를 받을 수 있습니다. 마일리지 적립은 피보험자가 아닌 계약자 명의로도 받을 수 있습니다(예, 부모님차를 가족한정으로 계약해서 자녀가 계약(=결재를 의미합니다)하는 경우, 자녀의 아시아나 마일리지 적립 가능). 물론 아시아나 클럽에 가입이 되어있는 주민등록번호로만 신청이 가능합니다. 아시아나 멤버쉽 번호를 몰라도 주민등록번호만 있으면 마일리지를 쌓아주더라구요.
2007년인가 자동차보험을 갱신하려다가 AXA의 운전자보험에 가입해서 매달 13,390원을 납부하고 있었습니다. 운전자보험을 들게 된 이유는 당연히 사고시 형사사건이 되는 경우 '즉시 구속'이라는 부분이 겁이 나서였지요. 운전자보험에서 지원해주는 형사합의지원, 벌금비용, 방어비용 때문에 혹시 모를 사고에 대비해 소멸성 보험인 운전자보험료를 매달 납부하고 있었더랬습니다. 당연히 이부분이 자동차보험의 기타특약으로도 된다는 사실을 몰랐던 것입니다. 아니 생각도 못했던 부분입니다. 보험사에서는 제가 분명 자동차보험 갱신을 위해 통화를 하는 중간에 운전자보험을 권유해주었고, 내가 '형사합의 때문에라도 해야하는 거군요'라는 이야기에도 자동차보험의 특약부분에 대해서는 이야기해주지 않았습니다. 물론 그런 부분은 내가 알아봐야했던 부분일 수도 있습니다.
여하튼간에, 9월 17일부터 갱신을 해야하는 자동차보험의 내년 보험료는 역시 AXA와 계약했고 금액은 674,880원입니다. 대인1, 대인2(무한), 대물 3천만원, 자손, 무보험차량 2억원, 자차, 긴급출동까지 포함된 가격입니다. 여기에 형사합의지원(실손형), 벌금비용(실손형), 방어비용 세가지를 포함하는 특약은 1년에 24,200원입니다. 오늘 통화 후 바로 운전자보험을 취소하고 자동차보험의 추가 특약을 결재했습니다.
물론, 운전자보험이 경우, 입원비 지원이나 사망보험금 지급, 보험료할증 위로금 지급이라는 추가 항목이 있습니다. 사망보험금은 다른 보험으로 만족을 하고.. 입원비도 자동차보험에서 해결이 되는 사항인데 거기에 추가 금액을 받는 부분이지요. 보험료할증위로금 이라는 건, (역시 AXA의 경우이지만) 50만원 이상 할증이 되는 경우 10만원의 위로금이 나오는 것이라고 합니다. 50만원 이상 보험료가 할증이 되는 경우가... 그리 흔하지는 않을 것으로 생각됩니다. 물론 입원비 지원의 경우에는~ 자동차사고 말고도 다른 입원도 지원을 해주는 것으로 알고 있기 때문에.. 조금 고민이 될 수도 있겠네요. 다른 보험을 어떤 것을 들었느냐에 따라서 선택의 기로에 서게 되겠습니다.
역시 아는 것이 힘이로군요. 알려준 동생에게 감사를^^
참고로.. 팁 두가지....
- 보험료 할증 기준금액을 사고당 50만원 → 200만원 으로 기준을 올려두세요. 50만원 기준에서 사고처리비용이 50~200만원 사이에는 3% 할증, 200만원 이상이면 10% 할증이 된다고 합니다(2010년 8월 확인, AXA 자동차보험의 경우). 이를 200만원 기준으로 올리는 데에는 만원 미만의 금액이 들어가지만 요새는 차량 부품값이 꽤 나가기 때문에 50만원은 쉽게 넘게 됨에 유의하세요.
- 혹시 AXA 다이렉트로 자동차보험을 갱신(신규 계약)하시는 경우, 아시아나 마일리지 2000점을 받을 수 있습니다. 아시아나 홈페이지에 보면 제휴 전화번호가 있는데 그쪽을 통해서 계약을 한 것이 아니라도, 또 이미 결재를 한 경우라도 갱신일(또는 보험시작일) 도래 전에 신청하시면 마일리지를 받을 수 있습니다. 마일리지 적립은 피보험자가 아닌 계약자 명의로도 받을 수 있습니다(예, 부모님차를 가족한정으로 계약해서 자녀가 계약(=결재를 의미합니다)하는 경우, 자녀의 아시아나 마일리지 적립 가능). 물론 아시아나 클럽에 가입이 되어있는 주민등록번호로만 신청이 가능합니다. 아시아나 멤버쉽 번호를 몰라도 주민등록번호만 있으면 마일리지를 쌓아주더라구요.